제55회, 지역 도서관에 대한 정책과 도서관 정책 역할의 제고 -서울시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사례를 통해/서
페이지 정보

본문
<세미나>
“지역 도서관에 대한 정책과 도서관 정책 역할의 제고 -서울시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사례를 통해-” | 서울도서관
◎ 사회 : 김지안(서울도서관 도서관정책과 과장)
“서울도서관 정책과 역할의 제고 : 서울시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사례를 통해”
• 발표 : 이정수(서울도서관 관장)
“지역 도서관 정책과 역할 토의”
• 토의 :
“도서관 정책 개발의 근거와 핵심” / 박소희((사)어린이와 작은도서관협회 이사장)
“작은도서관 현상을 통한 도서관 정책과 역할 시사점” / 한인선(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책기획단 사서사무관)
“작은도서관, 질적 성장을 해야 할 때” / 이현아(마포서강도서관 관장)
“국민소득 3만불 시대에 도서관정책” / 권나현(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8년 직접 민주주의 실현이란 정책 목표 아래 서울시 시민제안, 협치사업으로 시작된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사례를 통해 지역 대표도서관 정책의 지난 5년과 현재(광역 단위)를 평가하고, 도서관 정책 측면에서의 고려 사항, 향후 지향점 모색을 통해 지역대표도서관 역할, 제도의 주 목적인 지역 도서관 정책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본다. 지역 도서관 정책과 관련해 작은도서관, 공공도서관 관점에서 지난 작은도서관 정책과 관련한 현상 등 영향에 대한 평가, 기초, 광역, 중앙에 대한 요구, 국가 작은도서관 정책 사례와 지향, 개선 과제, 고민 등을 통해 중앙, 광역, 기초 간 정책 역할에 대한 논의와, 문헌정보학 측면에서 도서관 정책의 현재와 향후 과제, 현장에 대한 제언(대표도서관 제도, 작은도서관 정책 사례 등)도 함께 생각하고 토론해 본다. |
첨부파일
-
41 지역도서관에 대한 정책과 도서관 정책 역할의 제고_서울도서관.pdf (6.3M)
6회 다운로드 | DATE : 2018-10-31 00:00:00
- 이전글제55회, (고정욱 작가와 함께하는) 도서관과 나/(주)이씨오 18.10.31
- 다음글제55회, 의왕시도서관 변신 작당모의 - 정책학습모임을 통한 도서관 활성화 사례/의왕시도서관 18.10.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