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6회, 국내외 전자책 DRM 표준화 동향 및 국가표준 DRM 상용화 기술(OPENS DRM) 소개 / ㈜디알엠인사이드
페이지 정보

본문
“국내외 전자책 DRM 표준화 동향 및 국가표준 DRM 상용화 기술(OPENS DRM) 소개” | ㈜디알엠인사이드
• 발표 : 강호갑(㈜디알엠인사이드 대표이사)
• 발표 : 김태현(㈜디알엠인사이드 전무이사)
전자책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전 세계 전자책 산업계는 IDPF를 중심으로 EPUB 표준을 개발하여 보급해 왔다. 현재, 전 세계 전자책 시장은 EPUB 표준에 맞추어 제작된 전자책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전자책의 유통 과정에서 전자책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DRM 기술은 공급 업체별로 상이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책 공급자. 유통사, 도서관, 그리고 이용자에 이르기까지 DRM 기술의 비호환성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2014년에 KS 국가표준(KS X 6072, EPUB DRM 상호 운용 기술 명세)을 제정하였으며, 유럽의 EDRLab에서는 Readium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eadium LCP(Licensed Content Protection)라는 산업단체표준을 2017년에 발표한 바 있다. 2018년에는 한국이 제안하여 현재 ISO/IEC JTC1/SC34/ JWG7에서 전자책 DRM 기술의 국제표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전자책 DRM 표준화 동향 소개와 함께 국내외 전자책 DRM 표준을 지원하는 OPENS DRM 기술 및 현재 저작권기술 R&D 연구과제로 개발되고 있는 EPUB 스트리밍 DRM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가 될 예정이다. EPUB 스트리밍 DRM 기술은 EPUB DRM이 적용된 전자책을 모바일 앱에 다운로드 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필요한 데이터 스트림만큼만 가져와서 전자책을 열람할 수 있는 기술로,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이 포함된 대용량 EPUB 전자책에 대해서도 시공간의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
첨부파일
-
(주)디알엠인사이드.pdf (6.3M)
10회 다운로드 | DATE : 2019-10-25 00:00:00
- 이전글제56회, 스칼라뱅크 ‘연구자를 위한 매칭 및 분석 서비스/㈜코난테크놀로지 19.10.25
- 다음글제56회, 시민과 함께 만드는 수정·중원도서관 미래 전략/성남도시개발공사 19.1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